인터랙션_UXUI_기획/2020 졸업 프로젝트 (2020)
-
-
9차 발표인터랙션_UXUI_기획/2020 졸업 프로젝트 (2020) 2020. 5. 23. 18:14
2020년 4월 28일4월 28일2020년 4월 28일2020년 4월 28일
-
7차 발표 + 피드백인터랙션_UXUI_기획/2020 졸업 프로젝트 (2020) 2020. 4. 17. 17:23
6차 발표는 순서가 뒤섞여서 소멸.... 6차 발표는 사라졌다... 2020년 4월 14일 PPT에 추가된 내용 - 저번 주에 배경 설정이 부족하다는 피드백을 받아 (급하게) 배경 ppt 제작. - 너무 급하게 만든 티가 많이 남. 시간을 조금 들여서 맥락을 다듬어야 할 것 같음. 받았던 피드백들 - 너무 SF로 가면 안됨. - 현재 프로젝트가 추구하는 목표 / 가치와 배경의 결이 조금 다름. - 백그라운드가 너무 UI적인 부분에 치우치지 않았나. 왜 이게 전체적으로 필요한가에 더 집중했으면. 두개가 잘 섞여야 할 것 같음. 좀 더 다른 방식으로 UI의 설명을 전개해나가는 것이 필요해보임. - 사람들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경험에 더 초점을 맞추며 pt할 필요 있음. - 제로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의가 잘 되..
-
-
4차 발표_PPT + 피드백인터랙션_UXUI_기획/2020 졸업 프로젝트 (2020) 2020. 4. 4. 19:09
2020년 3월 30일 제출해야했으나 안함 + 2020년 3월 31일에 화상채팅으로 발표함. PPT에 추가된 내용 - 전체적으로 진행해야하는 부분들 파악을 위해 모델2 작성. 고베드로 교수님 피드백 -정보 이해, 접근, 수집, 배포의 문제를 다루려는가? -빅데이터, 클라우드, 딥러닝…등 어떻게 인사트풀하게 접근, 해석 할 것인가? -공공장소와 개인공간, 공공정보와 개인 정보에서 정보 접근과 수집 -왜 이 프로젝트가 꼭 필요한가? 어떻게 모두가 다 이해, 동의, 공감할 수 있는가? 셀프 피드백 제로 인터페이스 환경을 배경으로 한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배경에 대해 먼저 보편성있는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. 해당 배경에 대한 개인적인 인사이트와 밸러스를 맞추면서 제로 인터페이스 환경은 어떤 환경이며, 왜 차세..
-
3차 발표_PPT + 피드백인터랙션_UXUI_기획/2020 졸업 프로젝트 (2020) 2020. 3. 23. 21:19
2020년 3월 21일 제출 + 2020년 3월 24일에 화상채팅으로 발표함. PPT에 추가된 내용 - 프로젝트의 의도 + 맥락 설명 - 왜 제로 인터페이스를 배경으로 설정했는가? 위 두 가지 사항을 간략하게 질문 형식으로 이어서 표현함. (아래의 작업을 거친 뒤 PPT로 만듬.) 작업 중인 것 - 인터페이스 종류 리서치 & 리스트 업 중 (내용 : 종류, 주 사용환경, 크기, 실 사용 빈도수, 사용방식(인터랙션 방식), 사용감각, 배제되는 유저, 불편한 점) (구글 드라이브 엑셀 파일 사용중 : https://docs.google.com/spreadsheets/d/16U0HfxSJ_MKzAH87QZ3QxjtQ_VQIJrxDoJ_datzk8Ag/edit?usp=sharing) 고베드로 교수님 피드백
-
2차 발표_PPT + 교수님 피드백인터랙션_UXUI_기획/2020 졸업 프로젝트 (2020) 2020. 3. 18. 21:00
2020년 3월 14일 제출 PPT에 추가된 내용 - 프로젝트의 기준이 될 질문들 - 프로젝트를 구성할 요소들 작업 중인 것 - 인터페이스 종류 리서치 & 리스트 업 중 (내용 : 종류, 주 사용환경, 크기, 실 사용 빈도수, 사용방식(인터랙션 방식), 사용감각, 배제되는 유저, 불편한 점) (구글 드라이브 엑셀 파일 사용중 : https://docs.google.com/spreadsheets/d/16U0HfxSJ_MKzAH87QZ3QxjtQ_VQIJrxDoJ_datzk8Ag/edit?usp=sharing) 고베드로 교수님 피드백 / 2020.03.17 왜 제로 인터페이스인가? 디테일한 배경. 사회 문화 기술적 측면에서 배경이 있어야함 기술적 적용보다 사회, 문화적인 현상을 먼저 역추적할 것 (맥락) 왜..
-
1차 발표_아이디어 정리 PPT + 셀프 피드백인터랙션_UXUI_기획/2020 졸업 프로젝트 (2020) 2020. 3. 12. 21:33
2020년 3월 7일 작성 프로젝트의 전제/가정 (개인적) : 1. 제로 인터페이스 환경의 구성요소 근미래의 제로 인터페이스 환경은 유저 개개인의 정보를 각기 다르게 수집하는 IOT, 수집된 정보들이 모여있고 언제 어디서든 다운로드 할 수 있는 클라우드, 그 정보들이 모여 만들어진 빅데이터,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사고하고 연산하게 될 AI, 앞선 요소들을 기반으로 각기 다르게 인스턴트적으로 생성되어 유저와 마주하게 될 인터페이스가 존재할 것이다. 2. 제로 인터페이스 시대의 인터페이스의 유동성 1에서 언급한 요소들을 기반으로 각기 다르게 인스턴트적으로 생성되어 유저와 마주하게 될 인터페이스가 존재할 것이다. 인터페이스의 생성을 위한 요소로서는 보이스, 터치감각, 홀로그램, AR, VR등의 고정되어 있지 않..